[중국] 뇌 건강 원료 산업, '규모 확장'에서 '질적 향상'으로 전환
최근 몇 년 동안 뇌 건강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Global Market Insight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뇌 건강 보충제 시장 규모는 92억 달러에 달했으며, 2032년에는 193억 달러로 증가하여 연평균 성장률이 8.2%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시장의 성장세는 더욱 두드러진다. 보옌컨설팅(博研咨询)의 <2025년 중국 뇌 건강 솔루션 업종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기억력 개선’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4,600억 위안(한화 약 92조 원)을 돌파했으며, 올해 성장률은 13%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2025년 중국 뇌 영양소 데이터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뇌 영양소 시장 규모는 약 3,860억 위안(한화 약 77조 2,000억 원)이며, 올해에는 4,500억 위안(한화 약 90조 원)을 돌파하여 연평균 12.8%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이다.
핵심 원료 수요 급증, DHA가 주도
데이터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중국 뇌 영양소 원료 수요량은 13.8만 톤에서 18.2만 톤으로 증가했다. 전 세계 시장 내 비중 또한 18.5%에서 21.8%로 확대되었으며, 관련 설비 가동률은 76.8%에서 86.5%로 높아졌다. 특히 DHA, 인지질세린(PS), 은행잎 추출물, 콜린류 화합물 등 핵심 원료의 수요 증가가 두드러졌다. 이 중 DHA 관련 제품은 뇌 영양소 세분 시장의 38.2% 점유율을 차지하며, 연간 성장률은 15.1%에 달했다. 다양한 소비 계층의 차별화된 요구에 부합하여, 현재 뇌 영양소 원료 연구 개발 방향은 정밀화와 기능화로 전환되고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인지 개선’ 수요 증가
2024년 말 기준, 중국 60세 이상 인구는 3억 1천만 명에 달해 중국 전국 인구의 22%를 차지했다. 2035년에는 중국 60세 이상 인구가 4억 명을 돌파하고, 비중도 3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계 퇴행성 질환 환자 수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런지병원(仁济医院) 신경내과가 주도하여 발표한 <중국 알츠하이머병 보고서 2025>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알츠하이머병 및 기타 치매 환자 수는 약 1,700만 명에 이른다. 명확한 치료제가 부족한 현실 속에서 노년 계층의 인지 기능 개선 보충제에 대한 수요에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인의 일일 콜린 섭취량은 178.8mg에 불과하여, 유럽과 미국의 권장 표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인지질, 글리세로인산콜린(GPC) 등 인지 감퇴 완화 기능이 있는 원료의 시장 성장률은 16.3%에 달했다.
중장년층·청소년층 모두 뇌 건강 관심 확대
현대 사회의 빠른 생활 리듬 속에서 점점 더 많은 중장년층이 ‘항상 피곤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데이터에 따르면, 2억 3천만 명의 지식 근로자 중 72% 이상이 두뇌 피로를 경험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GABA, α-리포산 등의 피로 완화 성분의 판매가 연간 217% 급증했다.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징동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인지질’ 관련 검색량은 전년 대비 187% 증가했다.
복합 배합 원료로 전환, 기능·효율 동시 강화
현재 뇌 건강 원료 산업은 동질화 경쟁에서 차별화 발전으로 전환하고 있다. 단일 기능의 원료는 소비자의 다원적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워지면서, 복합 배합형 원료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과 DHA, 은행이ㅠ 추출물과 PS 등의 복합 배합 원료는 소비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해당 제품들은 '구조 복구 + 기능 강화'라는 복합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원료 간의 상승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제품 부가가치도 향상했다. 관련 제품 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3% 증가하여 거대한 발전 잠재력을 보여주었다.
정책 지원과 온라인 채널의 확산
정부 정책 또한 산업 성장의 중요한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건강중국 2030 계획 강요>는 뇌 과학 및 중대 과학 기술 프로젝트 추진을 제시했으며, <중국 주민 식이 영양소 참고 섭취량(2023 개정판)>은 처음으로 DHA의 권장 섭취량을 명시해 제품 연구개발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
한편, 유통 구조는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온라인 매출 비중은 이미 65%를 넘어섰으며, 도우인(抖音), 샤오홍슈(小红书) 등 SNS에서 ‘뇌 건강’ 관련 영상 재생 수는 120억 회를 돌파했다. 그중 영양사가 참여하는 라이브커머스의 전환율은 일반 카테고리보다 3.2배 높아 소비자의 원료 효능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데 효과적으로 기여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2030년이 되면 중국 뇌 건강식품 시장 규모가 1조 1,500억 위안(한화 약 23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며, 관련 원료 산업은 이 증가 효과를 지속적으로 누릴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적 지원과 기술 혁신, 소비 수요 증가의 3중 동력이 결합되며 산업은 ‘규모 확장’에서 ‘질적 향상’으로 도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https://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104169&menu_dept2=35&menu_dept3=71&dateSearch=year&srchFr=&srchTo=&srchTp=2&srchWord=&page=2&srchGubun=
https://www.cnfood.cn/article?id=1987688049556262914